
리더십 행동이론은 리더의 성격이나 자질보다 실제로 나타나는 행동과 태도에 초점을 맞춘 접근입니다. 20세기 중반 이후 경영학과 조직심리학에서 활발히 발전했으며, 리더십이 타고나는 능력이 아니라 학습과 경험을 통해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리더십 행동이론의 주요 특징과 함께, 대표적인 두 연구인 오하이오주립대학교의 연구와 Blake와 Mouton의 관리격자모형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두 연구를 비교 분석하고자 합니다.
리더십 행동이론의 특징
행동이론은 리더십의 본질을 “무엇을 하는가(what leaders do)”에 두었습니다. 즉, 리더의 사고방식이나 성격보다 구체적인 행동 양식을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다고 본 것입니다.
- 첫째, 행동 중심적 접근입니다. 리더의 성격 대신 실제 행동을 분석해 리더십의 효과를 설명합니다.
- 둘째, 학습 가능성을 강조합니다. 리더십은 훈련과 경험을 통해 개발될 수 있다고 봅니다.
- 셋째, 객관적 측정 가능성입니다. 리더의 행동을 설문, 관찰 등 실증적 방법으로 분석합니다.
- 넷째, 상황보다는 보편적 행동패턴에 초점을 맞춥니다. 효과적인 리더십은 특정한 행동조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리더십 연구를 경험적이고 과학적인 방향으로 이끌었으며, 리더십 교육과 평가에 활용 가능한 실질적 기준을 마련했습니다.
오하이오주립대학교의 연구
1940년대 후반, 오하이오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의 연구팀은 리더십 행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LBDQ(Leader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라는 설문 도구를 개발했습니다. 이를 통해 리더십 행동을 두 가지 독립된 차원으로 구분했습니다: 구조주도(initiating structure)와 배려(consideration)입니다.
- 구조주도: 과업 수행을 위해 업무 절차를 명확히 하고 역할을 구체적으로 지정하며, 목표 달성을 관리하는 행동입니다.
- 배려: 구성원의 감정과 복지를 존중하고 신뢰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행동입니다.
이 연구의 핵심은 두 차원이 서로 독립적이라는 것을 발견한 것이었습니다. 즉, 리더는 구조주도와 배려를 동시에 높게, 혹은 낮게 가질 수 있습니다. 구조주도만 높을 경우 단기 성과는 좋지만 관계 갈등이 발생할 수 있고, 배려만 높을 경우 만족도는 높으나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요소를 균형 있게 발휘하는 리더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결과는 이후 리더십 교육과 평가에서 “성과 중심과 관계 중심의 조화”라는 개념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Blake와 Mouton의 관리격자모형
관리격자모형(Managerial Grid Model)은 1960년대 Robert Blake와 Jane Mouton이 개발한 대표적인 행동이론 기반 리더십 모델입니다. 이 모형은 리더십을 과업 중심성(task orientation)과 인간 중심성(people orientation)의 두 축으로 설명합니다. 각 축은 1에서 9까지 점수화되어, 리더십 행동이 격자 형태로 시각화됩니다.
이 모형은 다섯 가지 대표적 리더십 유형을 제시했습니다.
- 1,1형 – 방임형 리더십: 과업과 인간 모두에 관심이 낮아 성과와 관계가 모두 저조합니다.
- 9,1형 – 권위적 리더십: 과업 중심으로 단기 성과는 높지만 인간적 유대가 약화됩니다.
- 1,9형 – 인간 중심형 리더십: 구성원의 만족을 중시하지만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5,5형 – 절충형 리더십: 두 요소를 균형 있게 유지하지만 탁월한 성과는 어렵습니다.
- 9,9형 – 팀형 리더십: 인간관계와 과업 성과를 모두 중시하는 이상적인 리더십으로 Blake와 Mouton이 가장 효과적인 유형으로 강조했습니다.
관리격자모형은 리더십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시각화했으며, 오늘날에도 리더십 진단, 교육, 워크숍 프로그램의 기반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9,9형 팀형 리더십은 협력과 혁신을 동시에 추구하는 현대 조직의 이상적 모델로 평가받습니다.
두 연구의 비교 분석
오하이오주립대학교의 연구와 관리격자모형은 모두 리더십 행동을 과업 중심과 인간 중심이라는 두 축에서 설명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집니다. 하지만 연구 목적과 활용 방식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 구분 |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연구 | Blake & Mouton 관리격자모형 |
|---|---|---|
| 연구 시기 | 1940년대 후반~1950년대 초 | 1960년대 |
| 핵심 개념 | 구조주도 / 배려 | 과업 중심 / 인간 중심 |
| 분석 방법 | LBDQ 설문을 통한 행동 차원 측정 | 1~9 점수화된 격자 구조로 리더십 시각화 |
| 목적 | 리더 행동의 기초적 구조 규명 | 리더십 유형 진단 및 교육에 실무 활용 |
| 이상적 리더십 | 높은 구조주도 + 높은 배려 | 9,9형 팀형 리더십 |
결국 오하이오 연구는 리더십 행동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했고, 관리격자모형은 이를 실무적 도구로 발전시켰습니다. 두 연구 모두 리더십이 학습과 경험을 통해 발전 가능한 능력이라는 관점을 확립했으며, 오늘날의 리더십 교육과 코칭 프로그램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결론
리더십 행동이론은 특성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리더십을 구체적인 행동으로 설명한 중요한 접근입니다.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연구는 구조주도와 배려의 균형을 제시했고, Blake와 Mouton의 관리격자모형은 이를 시각화하여 실무에 적용 가능한 체계를 마련했습니다. 두 연구는 리더십이 타고난 자질이 아니라 학습 가능한 기술임을 강조하며, 오늘날에도 조직 리더십 개발의 핵심 이론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조직행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적 리더십 모델(리더십 스타일과 상황변수, 상황에 따른 리더십 효과, 한계와 시사점) (0) | 2025.09.20 |
|---|---|
| 피들러(Fred E. Fiedler)의 리더십 상황모델 (0) | 2025.09.19 |
| (심화학습) 혁신적인 리더십을 저해한 조직문화의 대표 사례: 코닥(Kodak) (0) | 2025.09.18 |
| 리더십 특성이론 알아보기 (0) | 2025.09.16 |
| 리더십의 의미와 리더십 이론의 발전 (0) | 2025.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