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 해크만과 올드햄의 직무특성이론(독립변수 및 매개변수, 결과변수 및 조절변수, 이론의 평가) 직무설계와 동기부여는 현대 조직심리학과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에서 오랜 기간 연구되어 온 핵심 주제입니다. 1970년대 초반까지 직무 동기를 설명하는 주요 접근은 보상 중심의 외적 요인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나, 1975년 J. Richard Hackman(제이 리처드 해크만)과 Greg R. Oldham(그레그 알드햄)이 제시한 직무특성이론(Job Characteristics Model)은 내재적 동기부여를 설명하는 새로운 틀을 제시했습니다. 이 이론은 직무 자체의 특성이 개인의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 직무만족과 성과, 이직률 등에까지 변화를 초래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특히 이 이론은 직무설계(Job Design)의 과학적 기초를 제공하며, 개인의.. 2025. 10. 19. 허쯔버그의 2요인 이론(만족과 불만족의 개념 전환, 동기요인과 위생요인, 시사점 및 비판) 직장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만족과 불만족을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오래도록 조직심리학의 중심에 있었습니다. 프레더릭 허쯔버그(Frederick Herzberg)는 1959년 저서 The Motivation to Work(일에 대한 동기)에서 이 물음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직무만족과 직무불만족이 하나의 축에서 반대로 움직이는 단일 차원이 아니라,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두 차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즉 불만족을 없애는 조치가 곧 만족을 높이는 것은 아니며, 만족을 높이는 장치가 곧 불만족을 없애는 것도 아니라는 통찰입니다. 이 관점을 바탕으로 그는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이라는 이중 구조를 제시했고, 이는 이후 직무설계, 성과관리, 리더십, 조직문화 개선까지 폭넓은 영역에 영향을 .. 2025. 10. 18. 로크의 목표설정이론(좋은 목표의 조건과 목표-성과의 관계, 목표와 성과 사이의 조절변수, 시사점과 한계점) 조직 내에서 구성원의 동기부여는 단순한 보상이나 환경보다 구성원이 설정한 목표의 명확성과 난이도에 의해 크게 좌우됩니다. 이러한 관점을 체계적으로 정립한 학자는 Edwin A. Locke(에드윈 로크)입니다. 그는 1968년 논문 “Toward a Theory of Task Motivation and Incentives(과업동기와 인센티브 이론을 향하여)”에서 목표의 구체성과 난이도가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제시했습니다. 이후 Gary P. Latham(개리 레이섬)과 함께 1990년 『A Theory of Goal Setting and Task Performance(목표설정과 과업수행 이론)』을 출간하며 목표설정이론을 현대 조직심리학의 핵심으로 자리매김시켰습니다. 목표설정이론은 리더십, 성과관리.. 2025. 10. 14. 아담스의 공정성이론(기본 개념과 전제, 형평성 복원 행동, 시사점과 한계 및 후속 연구) 조직 내에서 구성원이 동기를 느끼는 이유는 단순히 보상이나 성취 때문만이 아니라, 자신이 대우받는 공정성의 인식과도 밀접히 관련되어 있습니다. 1960년대 초 심리학자 John Stacey Adams(존 스테이시 아담스)는 구성원이 자신의 투입과 산출을 타인과 비교하여 공정성을 판단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관점은 개인의 내적 요인에 초점을 둔 기대이론이나 욕구이론과 달리 사회적 비교와 인지적 평가를 통해 동기부여를 설명했다는 점에서 전환점을 마련했습니다. 본 글은 아담스의 공정성이론의 기본 개념과 전제, 투입과 산출 비율에 따른 불공정 인식과 형평성 복원 행동을 설명하고, 나아가 분배·절차·상호작용 공정성으로 확장된 최근 모형까지 시사점과 한계를 포함해 정리합니다.1. 기본 개념과 전제아담스의 공정성이.. 2025. 10. 13. 브룸의 기대이론(기대, 수단성, 유의성, 특징 및 한계) 브룸의 기대이론(Vroom’s Expectancy Theory)은 개인의 노력이 성과로 이어지고, 그 성과가 보상으로 연결된다는 인식 구조를 통해 인간의 동기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인지적 동기부여 이론입니다. Victor H. Vroom(빅터 브룸)은 1964년 저서 『Work and Motivation(일과 동기부여)』에서 인간은 단순히 욕구 충족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니라, “노력하면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믿음에 따라 행동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이론은 동기부여 과정을 논리적으로 분석 가능한 구조로 제시함으로써, 성과관리와 보상제도, 리더십 평가의 기초 이론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하에서는 브룸의 기대이론의 세 핵심 요소인 기대(expectancy), 수단성(instrumentality).. 2025. 10. 11. 엘더퍼의 ERG이론(3대 욕구, 욕구 간의 관계, 매슬로우 이론과의 비교) 엘더퍼의 ERG이론(ERG Theory)은 인간의 욕구를 단순화하고 현실적 상황에 맞게 설명한 대표적 동기부여 이론입니다. Clayton Alderfer(클레이튼 엘더퍼)는 1969년 논문 『An Empirical Test of a New Theory of Human Need(인간 욕구의 새로운 이론에 대한 실증적 검증)』에서 매슬로우(Abraham Maslow)의 욕구단계이론을 재구성하여 세 가지 범주로 정리했습니다. 그는 기존의 위계적 모델이 실제 인간의 욕구를 설명하기에는 경직되어 있다고 보고, 욕구 간 상호작용과 개인차를 반영한 새로운 체계를 제시했습니다. ERG이론은 인간의 복잡한 동기 구조를 보다 유연하게 해석할 수 있게 하여, 조직행동론과 경영심리학 분야에서 오늘날까지도 활발히 인용되고 있습.. 2025. 10. 8.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