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리더십에 대한 도전적 이론 part2(리더십 귀인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리더십 귀인이론의 한계와 시사점, 귀인이론의 최근 동향)

by curiousways 2025. 10. 2.

리더십 귀인 이론 관련 사진

 

리더십 연구는 오랫동안 리더 개인의 특성, 행동, 상황적 적합성을 중심으로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일부 학자들은 리더십이 실제로 리더 개인의 능력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인식과 해석에서 형성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바로 리더십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of Leadership)입니다. 이 접근은 리더의 효과가 구성원들의 기대, 신념, 상황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며, 리더십을 객관적 사실이 아니라 사회적 구성 과정으로 이해하게 만듭니다. 이하에서는 리더십 귀인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 이론의 한계와 시사점을 논한 뒤, 최근 발전한 리더 정체성 이론과 사회적 정체성 리더십 이론 등 새로운 동향을 다루겠습니다.

1. 리더십 귀인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리더십 귀인이론은 리더의 실제 행동보다 구성원들이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고 인식하느냐가 리더십의 본질을 결정한다고 봅니다. 따라서 귀인과정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는 구성원들이 생각하는 잠재적 리더십(Implicit Leadership Theories, ILTs)입니다. 로버트 로드(Robert Lord, 1984)는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to Leadership(리더십에 대한 정보처리 접근)』에서 구성원들이 머릿속에 이상적인 리더에 대한 스키마(schema)를 갖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스키마는 사회문화적 경험과 개인적 학습에 의해 형성되며, 새로운 리더를 만날 때 그 사람의 행동을 평가하는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문화에서는 카리스마 있고 권위적인 리더를 선호하지만, 또 다른 문화에서는 협력적이고 민주적인 리더를 더 이상적이라고 봅니다. 이러한 인식 차이는 동일한 행동이라도 전혀 다른 리더십 평가로 이어집니다. 실제 기업 사례를 보면,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에서는 개방적 의사소통과 혁신적 비전을 가진 CEO가 리더로 인정받습니다. 반면 전통 제조업 현장에서는 신중하고 절차를 중시하는 관리자가 더 안정적인 리더로 평가되기도 합니다. 구성원들이 가진 잠재적 리더 이미지가 다르기 때문에, 리더십 귀인도 달라지는 것입니다.

 

둘째는 리더 행동의 귀인(Attributions of Leader Behavior)입니다. 버나드 바스(Bernard Bass, 1990)는 『From Transactional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거래적 리더십에서 변혁적 리더십으로)』에서 구성원들이 리더의 행동을 결과와 연결 지어 해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예컨대 조직이 성과를 거두면 구성원은 리더의 결단과 능력 덕분이라고 귀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결과가 나쁘면 동일한 행동도 무능하거나 독단적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일부 은행 CEO들은 위기 대응을 위해 과감한 구조조정을 단행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손실을 줄였으나, 구성원과 대중은 이를 무책임하거나 냉혹한 리더십으로 귀인했습니다. 반면 같은 시기에 다른 기업의 리더는 보수적 재무 관리와 투명한 소통으로 신뢰를 얻어, 위기 대응 능력이 뛰어나다는 긍정적 귀인을 받았습니다.

 

결국 리더십 귀인과정은 단순히 리더 개인의 행동이 아니라 구성원들이 가진 잠재적 리더상과 그 행동의 맥락적 결과 해석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는 리더십이 객관적 사실이 아니라 사회적 해석의 산물임을 보여줍니다.

2. 리더십 귀인이론의 한계와 시사점

리더십 귀인이론은 신선한 시각을 제공했지만 몇 가지 한계도 지적됩니다.

 

첫째, 리더십의 실제 효과를 과소평가하는 한계입니다. 귀인이론은 리더십을 인식과 해석의 산물로만 보아 실제 리더의 전략적 판단, 자원 배분, 혁신적 비전이 가져오는 실제 성과 효과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합니다. 이는 리더십을 지나치게 심리적·인지적 차원에만 가두는 문제를 낳습니다.

 

둘째, 시간적 역동성 부족입니다. 귀인이론은 주로 한 시점에서 리더 행동과 성과를 해석하는 과정을 설명하지만, 리더십 인식은 시간이 흐르면서 변합니다. 초기에는 긍정적으로 귀인되던 리더십이 반복적 실패로 인해 부정적으로 바뀌거나, 반대로 위기 속에서 점차 신뢰를 얻는 경우도 있습니다. 귀인이론은 이러한 장기적 변화 과정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셋째, 조직 차원에서의 응용 부족입니다. 귀인이론은 주로 개인 구성원의 인지에 초점을 맞추지만, 실제 조직에서는 미디어, 평판, 사회적 네트워크가 리더십 귀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언론 보도나 소셜미디어 여론은 구성원의 인식에 큰 영향을 주지만, 초기 귀인이론은 이런 요인을 고려하지 못했습니다.

 

한편 이 이론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주고 있습니다. 첫째, 리더십은 단순히 리더의 특성이 아니라 구성원의 기대와 해석 속에서 구성된다는 점을 인식하게 합니다. 둘째, 조직은 리더십 개발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리더상(ILTs)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설계해야 합니다. 셋째, 언론·대중과의 관계를 포함한 리더십 평판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일깨워줍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리더십 자체가 구성원과 사회의 인식에 의해 재구성되기 때문에, 리더는 행동뿐 아니라 그것이 어떻게 해석될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3. 귀인이론의 최근 동향

리더십 귀인이론은 후속 연구로 이어지면서 더 정교한 모델로 발전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리더 정체성 이론(Leader Identity Theory)과 사회적 정체성 리더십 이론(Social Identity Theory of Leadership)입니다.

 

먼저, 리더 정체성 이론은 데이비드 데이(David Day, 2000)의 『Leadership Development: A Review in Context(리더십 개발: 맥락적 검토)』와 이후 연구들에서 발전했습니다. 이 이론은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귀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리더 자신이 스스로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도 달려 있다고 설명합니다. 즉, 리더로서의 정체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일관되게 행동할 때, 구성원들은 이를 진정한 리더십으로 귀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사회운동 지도자가 자신을 명확히 공동체 대표로 인식하고 헌신하는 모습은 구성원들로부터 긍정적 리더십 인식을 끌어냅니다.

 

둘째, 사회적 정체성 리더십 이론은 마이클 호그(Michael Hogg, 2001)의 연구에서 체계화되었습니다. 이 접근은 리더십 귀인이 개인의 특성이 아니라 집단 정체성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강조합니다. 즉, 구성원이 자신이 속한 집단의 가치와 규범을 잘 대변한다고 인식하는 사람을 리더로 받아들인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스포츠 팀에서 팀 문화와 규율을 체현하는 선수가 주장으로 선출되는 것은 단순한 성과가 아니라 집단 정체성과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현대 정치에서도 이러한 흐름은 두드러집니다. 특정 정치인이 뛰어난 정책 능력을 갖추었더라도, 유권자가 그를 “우리 집단의 대표”로 인식하지 않으면 리더십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반대로 집단 정체성을 잘 상징하는 리더는 능력 부족에도 불구하고 높은 지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최근 동향은 귀인이론을 개인 인지 차원에서 집단 정체성과 리더 정체성 차원으로 확장했습니다. 이는 리더십 연구가 개인 심리에서 사회적 맥락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리더십을 해석하는 틀을 더욱 폭넓게 만들어주었습니다.

결론

리더십 귀인이론은 리더십을 단순한 행동이 아니라 구성원의 인식과 해석 속에서 구성되는 사회적 현상으로 설명합니다. 구성원들이 가진 잠재적 리더상과 리더 행동에 대한 귀인은 리더십 인식의 중요한 결정 요인이 됩니다. 비록 실제 효과 과소평가, 시간적 역동성 부족, 조직 차원 고려 부족이라는 한계가 있지만, 리더십을 사회적 구성물로 바라보게 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리더 정체성 이론과 사회적 정체성 리더십 이론이 등장하여, 귀인이론을 개인 인지에서 집단 정체성과 리더 자기 인식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대 조직과 사회에서 리더십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통찰을 제공하며, 앞으로도 연구와 실무에서 중요한 토대가 될 것입니다.